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대사업자2

2022년 달라지는 전세보증보험 가입 #임대사업자 #전세금+대출액이 집값보다 많은 경우 2021년 1월 15일부터 2024년 1월 14일까지 2년간 한시적으로 가입조건이 안 되서 전세보증보험에 가입 못 했던 임대사업자에게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과거 2020년 발표된 7.10부동산대책으로 21년 8월부터 모든임대사업자가 HUG전세보증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법이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가입을 하려면 '전세금+해당 집에 대한 대출액(근저당)'이 집값(실거래가, KB시세 또는 공시지가X1.5)보다 낮거나 같아야 하는데, 다가구 빌라 전세의 경우, 집값이 10억이면 근저당 4억에 다른 세입자 보증금 7억. 내 보증금 2억... 이런 식으로 집값이 근저당+다른세입자 보증금+ 내 전세금보다 적은 경우가 부지기수인게 현실입니다. 그러다 보니 맨 처음 그 발표를 듣자마자 드는 생각이 "가입 조건이 .. 2021. 12. 31.
전세보증보험 의무가입 시행(2021년 8월 18일) 2021년 8월 18일부터 전세보증보험 의무가입이 시행됩니다! 시행일이 정말 코앞에 다가왔네요. 세입자 입장에서는 전재산이나 다름없는 돈을 안전한게 돌려 받을 길이 마련되니 마다할 이유가 없는데요, 다만 집주인 입장에서는 혼란이 많습니다. 제 블로그에 유입되는 검색키워드 양으로 살펴봤을 때, 제일 많은 질문들을 보자면 Q1. 전세보증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해줘야 하는가?(집주인) Q2. 임대사업자와 계약한 모든 집은 다 보증보험에 가입 가능한가?(세입자) Q3. 2021년 8월 18일 이전에 계약했는데, 그럼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가? (집주인/세입자) 이 3가지 인것 같습니다. 지난번에 이미 관련 글을 썼습니다만, 시행일을 앞두고 달라지거나 추가하고 싶은 것도 있어 다시 한번 글을 올려 봅니다. 지난 글을.. 2021. 8. 3.
반응형